목록오도재 (3)
승욱이 사는 세상

▲ 오도산에서 파노라마 뷰, 좌) 미녀봉, 중앙) 비계산 뒤로 우두산, 우) 두무산 오도산은 도선국사가 깨달음을 얻었던 곳으로 오도산이라 한다. 가야산맥 중의 한 산으로 북동쪽에 두무산, 북쪽에 비계산, 서남쪽에 숙성산 등이 있어 가야산의 산각을 이룬다. 오도산의 원래 이름은 '하늘의 촛불' 이라는 뜻의 천촉산 또는 까마귀 머리처럼 산꼭대기가 검다고 해서 오두산이라 불렀다. 그러던 것을 한훤당 김굉필선생과 일두 정여창 선생이 오도산 산하 계곡을 소요하면서 우리나라 유도를 진작시킬 목적으로 유도는 우리의 道라는 뜻에서 오도산으로 이름을 바꾸었다고 한다. 오도산은 높이가 1,134m이며 주위에 두무산(1,038m), 숙성산(899m) 등이 솟아 있으며 1982년 한국통신이 오도산 정상에 중계소를 설치하면서 ..
▲ 사자산 지나 골치재 사거리 직전에서 만난 일출 ▲ 사자산(간제봉)의 자화상 ▲ 일림산(667.5m) 예전 철쭉이 만발할 때 올라 초등학교 동창을 만난 일림산에 다시 오르니 옛날 생각이 난다 ▲ 일림산에서 바라본 모습으로 중앙부분이 제암산이고 좌측으로 사자산이다 ▲ 뒤돌아 본 일림..
팔공산 관봉 석조여래좌상 수태골휴게소--수태골--갈림길--오도재--서봉--비로봉--동봉--신령재--능성재--갓바위(관봉)--관음사--고은사--갓바위휴게소 08:50분 ∼ 15:50분 ====== 점심포함 7시간 소요 대구의 진산인 팔공산(八公山, 1,192.9m)은 대구와 경북 군위군, 영천시에 걸쳐 있다.예로부터 부악(父岳), 공산(公山), 동수산(桐藪山)이라 불리기도 했는데, 동국여지승람에는 "공산은 팔공산이라고도 한다.신라때는 부악이라 불렀는데 중악(中岳)에 비겨 이를 본따 중사(中祀)를 지내기도 했다"고 적고 있다.신라 오악의 하나로 산이 갖는 명예로운 이름말은 다 간직했다.봉황이 나래를 펴 하늘에 오르는 모습이라는 그 속에 계곡과 능선이 어울려 묘묘하게 흐르고, 봉우리의 암벽은 기암으로 솟아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