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경 상 도 산행 (156)
승욱이 사는 세상

▲ 연대도 유래 연대도(煙臺島)는 조선시대 삼도수군통제영에서 왜적의 상황을 알리기 위해 섬의 정상에 봉수대를 설치하고 봉화를 올렸다고 해서 연대도라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 연대봉(해발 220m) 자화상 ▲ 만지도 유래 만지도는 주변의 다른 섬보다 늦게 주민이 정착하여 晩(늦을 만), 地(땅 지)자를 써서 만지도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국립공원공단에서 명품마을 14호로 지정하였으며, 동서로 1.3km정도 길게 뻗은 형태로, 연대도와 연결 된 출렁다리로 걸어서 섬을 이동할 수 있다. ▲ 통영, 연대도 만지도 산행지도▶ 언 제 : 2025. 3. 2(일). 09:30 산행시작 ------ 4시간 20분소요(배시간 맞추려고 유유자적)▶ 어 디 : 만지도 선착장 - 출렁다리 - 연대마을 회관 - 에코체..

▲ 매봉재 매봉산(매봉제, 해발 330m)는 울산 북구 연암동에서 무룡산으로 보오르는 길에 있는 산으로 흔히들 매봉재라고도 부른다. 이 산이 매봉재로 불리는 것은 옛날에 해일이 일어나 산천이 모두 잠겼으나 이 산에는 매 한 마리가 앉아 있을 정도의 물에 잠기지 않은 바위가 있었다는데서 유래한다. 매봉산은 높은 산이라는 뜻도 함께 갖고 있다. ▶ 언 제 : 2025. 1. 1(수). 06:12 산행시작 ------ 약 1시간 소요▶ 어 디 : 화봉저수지 - 매봉재 - 무룡산 - 활공장 - 무룡산 - 매봉재 - 화봉저수지 ... 약 6.2km▲ 매봉재 정자 넘으로 일출이 시작된다 서둘러 무룡산으로 갑니다. ▲ 무룡산 정상 인정은 일출을 보고 난 후에 ㅎㅎㅎ 무룡산 활공장에서 2025년 을사년..

▲ 가덕도 연대봉 자화상 ▲ 가덕도 매봉 자화상▶ 언 제 : 2024. 12. 15(일). 09:26 산행시작 ------ 6시간 25분 소요▶ 어 디 : 대항고개(지양곡 주차장) - 연대봉 - 어음포 고개 - 매봉 - 가매봉 - 누릉령 - 누릉능 - 부민교회 가덕 기도원- 동선 새바지 - 동선 방조제 - 국수당 - 정거 벽화마을 - 눌차 초등학교(폐교) - 천가교 - 선창마을 ... 약 13.72km▶ 우정산그리뫼 산악회 번개산행으로 가덕도 연대봉 산행에 동참하여 시원한 바다바람 맞으며 눈이 시원한 하루를 보냈다 ▲ 대항고개(지양곡 주차장) 에 있는 호국영웅 박재덕 흉상 ▲ 대항고개(지양곡 주차장, 백재덕 추모공원)에 있는 가덕도 산행 안내도▲ 대항고개에 가덕도 관광명소 안내도도 있었다 ▲ 대항고개에서..

▲ 주흘산 주흘산은 문경의 진산이며 옛 문화의 터전으로 이 협곡에는 유서깊은 3개 관문이 있으며 기암절벽의 장관과 여러 갈래의 오솔길은 천혜의 멋진 등산로이다. 또한 사적 제147호인 문경관문과 부속성벽, 조곡관(제2관문) 계곡의 울창한 박달나무숲과 새재길이 유명하다 ▲ 주흘영봉에서 인정을 하고 조곡골로 하산길을 잡았다 ▲ 주흘산 등산지도▶ 언 제: 2024. 10. 6(토). 09:50 산행시작 ------ 6시간 15분 소요▶ 누구와: 우정산그리뫼 산악회 회원 41명▶ 족 적: 제1주차장 - 제1관문(주흘관) - 여궁폭포 - 혜국사 - 대궐샘 - 주흘산 - 주흘영봉 - 조곡골 - 제2관문(조곡관) - 조곡폭포 - 제1관문(주흘관) - 제1주차장 ... 약 15.34km▶ 우정산그리뫼 산악회 10..

▲ 경주 남산 용장사곡 삼층석탑(慶州 南山 茸長寺谷 三層石塔) 보물 제186호다. 용장사는 매월당 김시습이 금오신화를 쓰며 머물던 곳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현재 몇 군데의 석축이 남아있어 절터였음을 짐작하게 해줄 뿐이다. 용장사보다 높은 곳에 세워진 이 탑은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자연 암반을 다듬어 아랫기단으로 삼고, 그 위에 면마다 기둥새김 셋이 있는 윗기단을 설치하여 산 전체를 기단으로 여기도록 고안되었다.층마다 몸체돌 하나에 지붕돌 하나식 3층으로 쌓았는데 지붕돌과 몸돌을 별도의 석재로 조성하였고, 1층 몸돌은 상당히 높은 편이고 2층부터는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지붕돌은 밑면의 층급받침이 4단이고 처마는 직선을 이루다가 귀퉁이에서 경쾌하게 들려 있다. 윗부분이 없어진 탑의 ..

▶ 언 제: 2024. 9. 21(토). 08:50 출발, 시간은 놀며 즐기며~~~▶ 발자취: 하동호 주차장 - 비바체 리조트 - 칼남재 - 금남교 - 나본마을 - 시암교 - 상이마을 - 하동호 주차장 ... 약 9.5km▶ 막싸도라팀 지리산 가는 날 태풍 풀라산으로 인해 경남지역에 최대 300미리의 폭우가 내렸다. 일정을 취소할 수도 없어 하동호 둘레길을 한바퀴하기로 하고 울산에서 05:00경 출발했다.출발하니 비가 왔다가 그쳤다가를 반복하였고, 또 해가 나왔다가 구름에 가렸다가를 반복하였으며, 하동호 주차장에 도착할때는 비가 오지 않았다. 그러나 둘레길 시작하여 얼마 지나지 않아 비가 소나기처럼 시원하게 뿌리는 바람에 우산을 써도 옷과 신발이 다 젖었다. 그러나 같이 한 님들이 좋아 비를 맞아도 신..

▲ 가야산 상왕봉 자화상▲ 칠불봉 자화상 ▶ 가야산(伽倻山) 칠불봉(七佛峯) 전설 가야산은 가야건국 설화를 간직한 해동팔경 또는 영남의 영산으로 옛부터 정견모주(正見母主)라는 산신(山神)이 머무는 신령스러운 산으로 알려지고 있다. 가야산신 정견모주는 천신 이비하(夷毗訶)에 감응되어 두 아들을 낳았는데 뇌질주일(惱窒朱日)은 대가야 시조 이진아시왕, 뇌질청예(惱窒靑裔)는 금관가야의 시조 수로왕이 되었다고 전하여 오고 있다.칠불봉은 가야국 김수로왕이 인도의 아유타국 공주 허황옥(許黃玉)과 결혼하여 10명의 왕자를 두었는데, 큰 아들 거등(居登)은 왕위를 계승하고 김씨(金氏)의 시조, 둘쩨 셋째는 어머니의 성을 따라 허씨(許氏)의 시조가 되었다.나머지 7왕자는 허황후의 오빠 장유화상을 스승으로 모시고 가..

▲ 남산 전망대 이곳이 보고 싶어 주중에 홀로 찾았다. 그러다보니 사람 한 명 없어 산 전체 전세냈다 ▲ 남산 유래 원래는 오산이라 불렀다 뒤로는 화악산을 등지고 앞으로는 이서(청도의 옛 이름)벌의 들판을 굽어보며 우뚝 솟아 있는 청도의 주산이다. 남산이란 예로부터 나라의 왕국 남쪽에 있는 산을 가리킨다. 경주의 남산, 서울의 남산 등으로 청도의 남산은 엣날 부족국가시대에 이고장을 지배하였던 이서국의 남쪽에 있는 산이라 하여 지어진 지명이 아닌가 추측된다 ▲ 남산에서 삼면봉으로 가는 암봉에서 바라본 청도 남산의 명물인 '전망대' ▲ 청도 남산, 삼면봉, 은왕봉 등산지도 ▶ 언 제: 2024. 6. 7.(금) 08:45경 산행시작 ------ 4시간 20분 소요▶ 코 스:..

▲ 시루봉에서 이수도를 배경으로 ▲ 대금산 전 포토죤에서 진달래와 이수도를 배경으로 조금 위험해 보이나요 ㅎㅎㅎ 위험하지 않아요. ▲ 대금산 셀카로 정상 인정하려고 줄이 너무 길어서 옆에서 요렇게 ㅎ ▲ 대금산에서 파노라마 정면 이수도 뒤쪽으로 거가대교가 희미하게 보이고 우측이 산행 출발지인 외포항이다. ▲ 거제 망월산, 대금산 산행지도 ▶ 언 제: 2024. 4. 7(일). 08:55분 산행시작 ------ 5시간 소요(시간 의미없음) ▶ 어 디: 외포항 주차장 - 망월산 - 봉굴 - 도해사 - 시루봉 - 대금산 진달래 축제비 - 대금산 - 정골재 - 정골 - 외포항 ... 약 9.0km ▶ 우정산그리뫼 산악회 정기산행, 거제 대금산 진달래를 보기 위하여 찾았으나 생각만큼 개화가 되지 않았다 아마도 날..

▲ 허고개에서 국수봉으로 출발하는 것을 영상으로 남겼다 2024년 청룡의 해 우정산그리뫼 산악회 국수봉 시산제를 멋지게 지냈다 아마도 즐산, 안산, 산악회 발전 등 모든 것을 신령님께서 들어주실 것이라 믿어 봅니다. ▲ 국수봉에서~~~ 와 길다 ㅎㅎㅎ ▲ 시산제 후 뒤풀이 장소로 이동하기 위해 하산합니다. 뒤풀이 장소를 범서읍 모처에서 하였는데 장소는 모르는기 좋다 ㅎㅎㅎ

▲ 왕피천 유래 왕피천의 길이는 60.95㎞이고, 유역 면적은 514.001㎢인 지방 1급 하천이다. 수비면 신원리·오기리·발리리 등을 지나면서 장수포천(長水浦川)이 되어 북동쪽으로 흐르고, 수하리에 이르러 통고산(通古山, 1,067m) 남쪽사면을 흘러 여러 수계를 묶어 흐르는 신암천(新巖川)을 합류하여 북쪽으로 흐른다. 행정구역상으로는 울진군, 양양군 등 2개군 1개읍 4개면을 포함한다. 울진군 서면 왕피리 부근에서 심한 곡류를 하고, 통고산 동쪽사면을 흘러 동쪽으로 흐르는 수계를 합류하여 왕피리 한천마을에서부터 왕피천이라 불린다. 옛날 실직국(悉直國) 왕이 피난왔다고 해서 마을이름을 왕피리, 마을 앞을 흐르는 하천을 왕피천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 왕피천 발자취 ▶ 언 제 : 2023. 8. 2..

▲ 절골에 있는 멋진 폭포 이곳 점촌마을 사람들은 이곳을 선녀탕이라고 부르며, 깊지 않아 아이들도 놀기 좋은 곳이였다 그러나 이곳은 모르는 사람은 아예 찾아가기 함든 곳이였다 ▲ 지리산둘레길 7구간과 절골 발자취 ▶ 언 제: 2023. 8. 13(일). 09:45 산행시작 ------ 2시간 35분 소요 ▶ 누 구: 막싸도라팀 10명 ▶ 족 적: 청계저수지 - 점촌마을 - 지리산둘레길7구간 - 성불정사 - 절골 - 선녀탕 - 가온누리펜션 - 점촌마을 - 청계저수지 ... 약 5.45km ▶ 1박 2일 계획을 잡고 떠난 막싸도라팀 여름 여행, 첫날은 한신지계곡 산행을 하고, 산청군에 있는 막싸도라팀 부회장님의 동서집에서 하루 신세를 졌다, 둘째날은 숙소 근처에서 간단하게 오전 산행을 하고, 오후에는 맛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