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능동산 (7)
승욱이 사는 세상

▲ 능동산은 가지산과 천황산을 이어주는 능선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봉우리 모양이 언덕처럼 둥글다하여 능동(陵洞)이라 붙여진 것이라 한다 ▲ 천황산 직전 전망대에서 바라본 가지산, 앞쪽이 백호가 자리잡고 있는 백운산이다. 이곳에서 백호의 형상을 가장 멋지게 볼 수 있다 ▲ 천황산 유래 천황산은 일제가 붙인 이름이 아니고 수백년 전부터 우리 조상들이 불렀던 고유의 산 이름이라고 울산의 향토사학자 이유수씨가 이 사실을 증명했다. 이씨는 지난 98년 울산에서 발행된 울산향토사연구회 향토시보 제9집에서 '천황산일식명설의 고찰' 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통해 천황산이 우리 고유의 산명인 천왕산에서 유래되었다고 역사적 사실을 들어 규명했다 그에 따르면 천왕산은 조선 영조 36년(1760년)에 만들어진 전통지리화인 여지도..

▲ 능동산은 가지산과 천황산을 이어주는 능선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봉우리 모양이 언덕처럼 둥글다하여 능동(陵洞)이라 붙여진 것이라 한다 ▲ 가지산이 멋지게 조망되는 능동2봉 ▲ 능동 2봉에서 임도로 내려서면 만나는 명품 소나무 사람들이 너무 많이 올라가서인지 아님 세월이 피곤해서인지 몰라도 비스듬히 누워 자라고 있다 좌측으로 운문산과 사자봉, 문바위가 보인다. ▲ 천황산 직전 전망대에서 바라본 가지산, 앞쪽이 백호가 자리잡고 있는 백운산이다. 이곳에서 백호의 형상을 가장 멋지게 볼 수 있다 ▲ 천황산 유래 천황산은 일제가 붙인 이름이 아니고 수백년 전부터 우리 조상들이 불렀던 고유의 산 이름이라고 울산의 향토사학자 이유수씨가 이 사실을 증명했다. 이씨는 지난 98년 울산에서 발행된 울산향토사연구회 향토시..
▲ 입석대 전 암봉, 저 멀리 배내재에서 좌측으로 배내봉 우측으로 능동산으로 이어진다 ▲ 입석대 뒤로 고헌산이다 입석대는 영남알프스의 이름 있는 산과는 떨어져 있어 사람들이 많이 찾지 않았으나 최근에 많이 알려지면서 쇠점골과 연계하는 여름산행으로 산꾼들이 즐겨 찾는 곳이다 ▲ 능동산은 가지산과 천황산으로 이어지는 산릉 가운데 위치하고 있으며 산의 모양새가 "왕릉처럼 둥글어 마치 큰 언덕처럼 보여 능동산(陵洞山)"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 천황산 주봉은 사자봉이다, 남쪽에 솟아 있는 재약산(수미봉)과 맥이 이어져 천황산은 재약산으로 부르기도 하는데 이러한 혼동은 천황산이 일제강점기 때 붙은 이름이라 하여 우리 이름 찾기 운동의 일환으로 사자봉을 재약산 주봉으로 재약산은 수미봉으로 부르면서 생겨났다 ..
▲ OK그린 목장의 명품송 ▲ 좌) 고헌산 서봉, 우) 고헌산 동봉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과 언양읍, 두서면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해발 1,034M의 산으로 옛 성터와 억새군락이 장관을 이루고 있으며 가뭄이 들면 용샘에서 기우제를 지내기도 했다 낙동정맥이 낙동강을 따라 내려오다 영남..
▲ 고헌산은 정상석이 3개(서봉 1개 동봉 2개)다 옛날 울산 언양의 진산으로 기우제를 지내기도 했던 곳이다 ▲ 고헌산 인정샷 그런데 몇명 모자란다 ▲ 외항재에서 한고개 치고 올라 도착한 신원봉, 예전에 없던 정상석이 멋드러지게 세워져 있다 ▲ 모두다 기다려 준 미덕으로 한컷, 이..
가지산 정상에서 청운님과 함께 운문산을 배경으로 한밤 백운산 정상의 자화상 2015. 5. 16. 22:26 ~ 117. 14:16.....16간 20분 소요, 휴식 3시간 6분(무박 태극종주) 미호고개(하동마을) - 복안고개 - 천마산 - 삼강봉 - 백운산 - 소호령 - 고헌산 - 외항재 - 895봉 - 운문령 - 상운산 - 가지산 - 중봉 - 석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