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욱이 사는 세상
벽송사, 서암정사 2차 탐방(12.09.23) 본문
서암정사 석굴법당
서암정사의 유래
한국전쟁을 전후하여 민족의 비극이 유난히도 치열하고 깊었던 이곳 지리산(智異山), 1960년경 전화(전화)가 지나간 지 한참 뒤였지만 산간오지(山間奧地) 두메산골인 벽송사(碧松寺) 주변에는 아직도 전쟁의 상흔(傷痕)이 곳곳에 남아 있다. 그러나 대자연(大自然)의 섭리가 인연(因緣)에 사로잡힌 인간들의 희비에 개의치 않나니, 한때 천지를 진동하던 총성과 온 산을 뒤덮었을 포연(砲煙)의 폭풍이 휩쓸었을 이곳에도 언제 그런 일이 있었냐는 듯 산새가 지저귀고 봄이 오니 꽃이 핀다.
오늘날 서암정사(瑞庵精寺)가 있게 된 것도 역시 억겁(億劫)의 인연과 대자연이 빚어낸 조화의 한 그림자가 아닌가 한다.
문득 지난 일을 회상하지 벌써 40여 년 전이다 내 어느날 복잡한 도시인 부산을 뒤로하고 청산(靑山)에 파묻힐 양으로 심산유곡(深山幽谷)의 수행처(修行處)를 찾아 정처없이 흰구름따라 발길 닿는 대로 온 곳이 여기 벽송사다.
인적도 드물어 한적한 산사(山寺) 벽송사, 때로는 감자를 심어 끼니를 때우고 몸소 흙더미를 치워가며 이어지는 수행생활은 고달프기 그지없다. 너무 힘이들고 갈등도 많이 생겨 여기를 떠나버릴까 하는 마음이 몇 번이나 일어나기도 한다. 하지만 그때마다 비가 새는 법당에 탈금(脫金)이 다 되어 새까만 모습으로 초라하게 앉아 계신 부처님을 들여다보며 망설이기를 거듭하면서 그럭저럭 눌러앉아 "여기가 또한 인연지(因緣地)려니.." 여기고 폐허를 수습하다보니 어언 10여 성상(星霜)이 훌쩍 흘렀다.
구석구석 묵은 쑥대가 나부끼는 1970년대 초의 어느 포근한 봄날 오후, 선정(禪定)에서 일어나 조용히 경내를 거닐면서 한 발짝 닞혀져 가는 묵은 옛길을 따라 알 수 없는 무슨 기운에 이끌리듯 와서 멈춘 곳이 바로 오늘의 서암정사 터다.
석굴법당 조성(造成) 경위
이곳이 만년도량의 성지(聖地)임을 확신하고 산승(山僧)이 도량 주변을 조심스럽게 살피던 중 사람이 일부러 깍아놓은 듯한 거암, 즉 지금의 석굴법당 전면(前面)에 다다른 순간 몸과 시선이 굳어진 듯 멈추었다
"여기로구나, 아! 좋구나....."
조용히 눈을 감고 부처님의 영산회상, 그리고 아미타상을 사앙했다. 지극한 마음으로 한없이 기도하면서 염원(念願)의 심층에서 떠오르는 어떤 영상(影像)을 느끼니 바로 아미타불(阿彌陀佛)의 세계(世界)로다.
전쟁의 참화(慘禍)로 이 주변 지리산에서 희생된 무수한 원혼(寃魂) 들의 마음의 상처를 달래고 남북으로 첨예한 대립의 벽을 허물고 나아가서는 모든 인류가 부처님의 대자비(大慈悲) 광명 안에서 평화로운 이상사회(理想社會)가 실현되기를 발원하면서 부처님을 조성하게 된다.
조성과정의 이야기들
서암정사는 대자연의 섭리가 빚어낸 조화로 준비된 장소에 여러 사람들의 크고 작은 공덕이 보태지면서 비로서 오늘날의 모습을 이루게 되었다. 30여년전 불사를 시작한 이래 적지 않은 난관과 고초를 겪었지만 좌절하지 않고 장엄한 사찰을 조성할 수 있었던 것은 불보살의 보살핌 덕분이라고 생각한다.
여러 시주들의 정성어린 물심양면 공덕과 더불어 석공들의 공덕을 들지 않을 수 없다. 홍덕회, 이종원, 이승재, 이금원, 이인호, 맹갑옥 석공은 지극한 정성과 노력으로 한치의 흘림없이 조각을 완성했다
석굴법당의 아미타 본존불은 이승재 석공이 시작했고, 본존불 외에 석굴버방의 여러 부조는 홍덕회 석공이 조각했으며 맹갑옥 석공이 조역을 했다. 주산신과 독수성은 맹갑옥 석공이 겉석을 치고 홍덕회 석공이 세조각(細彫刻)으로 마무리 했다.
사천왕상과 비로전은 이종원 석공이 중심이 되어 완성했고 배송대는 이금원 석공이, 용왕단은 이인호 석공이 각각 조각했다.
여러 석공 중에서 특히 홍덕희 석공은 서암정사에서 10년 이상 머물면서 석굴법당을 위시해 사자굴의 모든 조각을 마무리 했다. 마천면 추성리와 의탄리의 몇몇 인연이 있는 분들은 처음 터를 닦을 때부터 시작해 도량 조성과정의 크고 작은 일에 큰 힘을 보탰다 험한 장소에서 도량을 조성하다보니 뜻밖의 사고로 자칫 불사가 중단될뻔 한 적도 있었으나 그때마다 불보살의 도움으로 순조롭게 오늘에 이를 수 있었다
20여년 전 쯤일까. 지금의 사천왕상 맞은 편에 있는 돌탑을 쌓을 때였다. 탑 쌓기를 끝낼 무렵 점심시간이 되어 일꾼들을 태워 경운기를 재조한 짐차(일명 탈탈이)을 몰고 가파른 언덕길을 올라오다 브레이크가 고장나 버렸다
운전자를 포함해 일곱 명이 탄 짐차는 걷잡을 수 없이 언덕길을 미끄러져 내려갔다, 불행 중 다행으로 짐차가 쌓고 있던 탑에 부딪쳐 탑을 무너뜨리고 멈춘 덕분에 언덕 아래로 굴러 떨어지는 대형사고를 면할 수 있었다.
하지만 사람을 점검해보니 한 사람이 보이지 않아 자세히 살펴보니 무너진 돌더미 속에서 오자락이 내다 보였다. 황급 결에 관세음보살을 염하면서 무너진 돌더미를 치워내자 탑 쌓는 기술자가 모로 누워 기절한 채 돌 밑에 깔려 있었다. 호흡도 거의 끊어져 있었으나 한 참 뒤에야 돌아왔다. 병원에서 정밀진단을 한 결과 갈비뼈 3대만 부러지고 다른 곳은 이상이 없었다.
나중에 이야기 하기를 이 사람은 사고가 나는 순간 비몽사몽간에 흰옷을 입은 노인이 자신을 밀어 올리는 것을 느낀 것 외에는 아무 생각이 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입원해 있을때도 같은 노인이 나타나 밀치는 바람에 병상에서 떨어진 적이 있다고 했다
상처로 인하여 신체가 허약해지면 정신이 극도로 혼미해질 때 관세음보살이 나타나 정신을 차리게 한 것이다.
미타굴은 서암정사 대웅전 중창불사를 위해서 지금은 그 자리에 대웅전이 들어섰다 ---- 서암정사 홈피 ----
▲ 서암정사의 사천왕상이 있는 곳으로 사천왕상을 우측 화강암 바위에 조각되어 있다.
▲ 2
▲ 3
▲ 4
▲ 서암으로 들어서는 순간부터 범상함을 느끼게 됩니다.
▲ 보이는 바위 밑에 석굴법당이 있다
▲ 연못으로 조성된 자연석의 용 조각
▲ 서암정사의 불보살 신장들은 모두 바위에 새겼다. 아미타불을 본존불로 모신 석굴법당인 극락전 안 여덟보살과 십대제자, 십장생 동식물 등 ‘극락세계'가 조각되어 있다
▲ 비로전
▲ 비로전의 비로자나불과 문수 보현보살, 법을 구하는 선재동자도 모두 화강암 바위에 새겼다
▲ 2
▲ 보면 볼수록 신비로움이 더한다
원응(元應)스님
큰 절 격인 벽송사를 중창하고 서암정사를 만든 원응(元應)스님
40여년전 전쟁의 흔적이 그대로 남아있던 비극의 땅 지리산을 ‘안양'으로 만든 주인공이다.
▲ 한국 선불교 최고의 종가인 벽송사
벽송사는 조선 중종 시대인 1520년 벽송지엄 선사에 의해 창건되었으며,
서산대사와 사명대사가 수행하여 도를 깨달은 곳이기도 하다. 조선시대 불교의 선맥에서 보면
벽계정심, 벽송지엄, 부용영관, 경성일선, 서산휴정, 부휴선수, 사명유정 등
기라성 같은 정통조사들이 벽송사에서 수행 교화하여 조선 선불교 최고의 종가를 이루었다
▲ 벽송사 대웅전 뒤쪽으로 도인송과 미인송이 인상적이다.
▲ 미인송과 도인송을 석양을 배경으로
'해밀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태종 총본산 구인사 여행(12.10.27) (0) | 2012.11.01 |
---|---|
충북 적보산으로 떠난 초심여행(12.10.26~27) (0) | 2012.11.01 |
2012. 5. 27. 청학동 삼성궁 (0) | 2012.06.10 |
2012. 4. 8. 울산 솔마루길과 수변공원 벚꽃( 작은법당, 교회, 성당) (0) | 2012.04.16 |
2011. 12. 4. 호미곶의 겨울 (0) | 2011.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