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샘물산장 (4)
승욱이 사는 세상

▲ 능동산은 가지산과 천황산을 이어주는 능선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봉우리 모양이 언덕처럼 둥글다하여 능동(陵洞)이라 붙여진 것이라 한다 ▲ 천황산 직전 전망대에서 바라본 가지산, 앞쪽이 백호가 자리잡고 있는 백운산이다. 이곳에서 백호의 형상을 가장 멋지게 볼 수 있다 ▲ 천황산 유래 천황산은 일제가 붙인 이름이 아니고 수백년 전부터 우리 조상들이 불렀던 고유의 산 이름이라고 울산의 향토사학자 이유수씨가 이 사실을 증명했다. 이씨는 지난 98년 울산에서 발행된 울산향토사연구회 향토시보 제9집에서 '천황산일식명설의 고찰' 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통해 천황산이 우리 고유의 산명인 천왕산에서 유래되었다고 역사적 사실을 들어 규명했다 그에 따르면 천왕산은 조선 영조 36년(1760년)에 만들어진 전통지리화인 여지도..

▲ 능동산은 가지산과 천황산을 이어주는 능선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봉우리 모양이 언덕처럼 둥글다하여 능동(陵洞)이라 붙여진 것이라 한다 ▲ 가지산이 멋지게 조망되는 능동2봉 ▲ 능동 2봉에서 임도로 내려서면 만나는 명품 소나무 사람들이 너무 많이 올라가서인지 아님 세월이 피곤해서인지 몰라도 비스듬히 누워 자라고 있다 좌측으로 운문산과 사자봉, 문바위가 보인다. ▲ 천황산 직전 전망대에서 바라본 가지산, 앞쪽이 백호가 자리잡고 있는 백운산이다. 이곳에서 백호의 형상을 가장 멋지게 볼 수 있다 ▲ 천황산 유래 천황산은 일제가 붙인 이름이 아니고 수백년 전부터 우리 조상들이 불렀던 고유의 산 이름이라고 울산의 향토사학자 이유수씨가 이 사실을 증명했다. 이씨는 지난 98년 울산에서 발행된 울산향토사연구회 향토시..
▲ 용아A 최고의 조망바위 이곳에서 오손도손 이야기 정을 나누며 한참을 쉬어 갔다 ▲ 용아A 조망바위에서 건너다본 용아B...저곳에 단풍이 내리면 너덜지대와 어우러져 정말 아름다운 곳이다. ▲ 샘물산장에서 천황산(사자봉)으로 오르면서 바라본 천황산 정상 서서히 가을 냄새가 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