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846)
승욱이 사는 세상
닭의장풀(달개비꽃) 꽃말이 "순간의 즐거움"이라는 닭의장풀(달개비꽃)이랍니다. 꽃은 아침에 피고 오후에 진다고 하네요 꽃 모양이 꼭 싸움닭처럼 생긴 달개비꽃은 우리나라 아무곳에서는 피는 사랑을 받지 못하는 꽃이랍니다. 전설 한마디 옛날 어느 마을에 두 남정네가 서로 힘 자랑을 하기로 했답..
주목 [朱木] 겉씨식물 구과식물아강 구과목 주목과의 상록교목으로 한국 ·일본 ·중국 동북부 ·시베리아 등 고산지대에 서식하며 꽃말은 "고상함" 이라고 한다. 높이는 22m, 지름 2m정도 자란다고 한다. 2009. 8월 중순 다리를 다쳐 산행을 하지 못하여 야생화를 구경하기 위하여 운문사 내원암에 들렀다..
기림사(祇林寺) 함월산(含月山) 기림사는 천축국(天竺國, 인도)에서 온 광유성인(光有聖人)이 창건하여 임정사(林井寺)라고 불렀다, 그 후 신라 선덕여왕 12년에 원효대사가 사찰을 크게 확장하면서 현재의 이름으로 바꾸었다. 이 때에 이미 대적광전(大寂光殿)을 건립하여 삼신여래(三身如來)를 봉안..
배롱나무(백일홍 → 百日紅) 부처꽃과의 낙엽 소교목, 자미화(紫薇花) 또는 나무껍질을 손으로 간지르면 잎이 약하게 움직인다하여 간지름나무라고도 한다, 꽃은 7-8월에 붉은색 또는 흰색 꽃이 가지 끝에 원추(圓錐) 꽃차례로 피고 꽃말은 "떠나간 벗을 그리워함"이고 100일 동안 피어 있다하여 백일홍..
나의 누구인가? 본관은 어디며, 파는 무슨파며, 몇 대손에 누구 자손인가? 인간은 누구나 같은 혈족 종친을 만났을 때 반갑기가 그지없다. 그러나 같은 혈족 종친을 만나 반가운 마음으로 혈연의 정을 다지며 서로를 소개할 때, 자신을 어떻게 소개 할 것인가도 생각해보지 않을 수 없을것이다. 따라서 ..
운문사(雲門寺) 경북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에 위치한 움문사는 신라 진흥왕 21년 초창(初創)되어 대작갑사(大鵲岬寺)라 하였는데 제1차 중수는 진평왕때 원광국사가 제2차는 신라말에 보양국사가 하였다. 고려 태조는 동왕 20년(서기 937)에 많은 전지를 내리고 움문선사라 사액(賜額)하면서 운문사라 불..
접시꽃 아욱과 두해살이풀로 촉규화(蜀葵花), 덕두화, 접중화, 촉규, 촉계화, 단오금이라고도 한다. 중국 원산이며 길가 빈터 등지에 자생한다. 꽃은 6월경 잎겨드랑이에서 짧은 자루가 있는 꽃이 피기 시작하여 전체가 긴 총상꽃차례로 된다. . 꽃색은 붉은색, 연한 홍색, 노란색, 흰색 등 다양하고 꽃..
능소화 꽃말은 명예, 영예 입니다. 아마 이것은 이 꽃이 양반집에서나 볼수 있는 과거의 모습과 관련이 있는듯 합니다. 능소화는 중국이 고향인 능소화과의 덩굴성 목본 식물이다. 중국에서도 강소성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다고 한다. 그러니 우리 나라에는 수입 꽃이 되지만 들어온 때가 언제인지 까..
나무수국 [--水菊] 쌍떡잎식물 장미목, 범의귀과의 낙엽 활엽 관목 일본이 원산지이고 관상용으로 정원에 심는다. 낙엽 관목으로 높이는 2∼3m이다. 잎은 마주나고 때로는 3개가 돌려나는 것도 있으며 타원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이다. 꽃은 7∼8월에 가지 끝에 원추(圓錐)꽃차례를 이루며 피는데, 중성화..
모과나무 장미과의 낙엽 활엽 교목. 높이는 10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끝이 뾰족한 긴 타원형이다. 목재는 단단하고 질이 좋아 기구재로, 열매는 기침의 약재로 쓰인다. 관상수, 과수 또는 분재용으로 재배한다. 중국이 원산지로 한국, 일본 등지에도 분포한다 꽃은 연한 홍색으로 5월에 꽃이 피..
와송(瓦松) 돌나물과에 딸린 늘푸른 여러해살이풀, 와송(瓦松)은 오래된 기와지붕이나, 산위의 바위에서 자라나는 일명 기와솔, 기와초, 바위솔(石松)이라 불리며 경천과(景天科)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서 12세기부터 한방고서에 있는 본초(本草)로, 와송은 오래전부터 민간요법으로 악성종양, 해독, ..
해오리난 난초과에 속하는 다년초로 해오라비난초, 해오리난, 은화백로, 황새란으로 부르며, 양지쪽 습한 곳에 자란다. 타원형의 구근이 있고 지하경이 옆으로 뻗는으며, 높이 15-40센티미터이고 넓은 선형의 잎이 있다 꽃은 7-8월에 지름 3센티미터로 3-4송이 원줄기 끝에 달리고, 꽃 모양이 해오라기 새를 닮았다고 이런 이름이 붙었다 마사토와 부엽토, 배수가 잘되게 이끼 식재하여 봄에 한번 분갈이를 하면되고 하루에 한번식 물을 주어야 합니다., 해오라비는 해오라기의 경상도 방언이며, 해오리의 "해"는 하얀색을 일컫는 말로 고고한 새의 자태가 느껴지지 않습니까. 2009년 8월 16일 운문사 내원암에 들러 야생화 구경을 하면서 발견하였다. 한송이만 피여 있어 조금은 아쉬웠지만 황홀감을 느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