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866)
승욱이 사는 세상
▲ 신열암 암자터 커다란 바위가 병풍처럼 둘러져 있고 앞은 넓은 공터에 주축돌과 기와조각이 널려 있다 샘터 흔적이 있다고 하였으나 낙엽에 덮혔는지 찾을 수 없었다. 그러나 넓은 터로 보아 명당임에는 틀림없어 보였다 ▲ 2 ▲ 주축돌에서 나란이 한 컷 ▲ 이제 로프를 이용 함양독바위를 줄지어 오른다 ▲ 같이 한 J3님 ▲ 건너편 바위에서 촬영한 함양독바위 함양독바위는 상대날등과 황새날등을 좌우로 거느린 음달골이 오죽 깊고 험했으면 "그곳에 가면 사흘 안으로는 나오기 힘들다는 말까지 전해져 온다 ▲ 함양독바위의 산적님과 소나무님 ▲ 2 ▲ 3 ▲ 함양독바위는 저 두분이 올라간 곳까지만 갈 수 있다 ▲ 좌) 저 로프를 이용 오르고 내려야 한다. 예전에는 바위에 박아 놓은 볼트를 밟고 올랐는데 구부려 놓아 딛을..
▲ 산죽비트 전 계곡에서 만난 멋진 단풍, 같은 나무에 가지마다 색깔이 조금씩 달랐다 2019년 가을단풍은 요것을 끝으로 단풍은 내년으로 기약해야 것다 ▲ 환희대 자화상 이 바위가 점필재 김종직의 기행문 유두류록에 환희대라고 추정되는 망바위다. 유두류록에서 환희대는 천길이나 되는 곳으로 그곳에 오르면 홍련사, 백련사 등 여러 사찰이 보인다고 했다 세상이 수 십번 변했는지는 몰라도 아무리봐도 천길은 아니였다 ▲ 의론대에서 바라본 함양독바위, 보는 각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보여준다 함양독바위 동부능선 상 독바위 앞에 '함양'이라고 붙은 것은 지리산에 3개의 독바위가 있기 때문이다. 하나는 남부능선 상에 있는 하동독바위, 또 하나는 쑥밭재와 새봉 사이에 있는 산청독바위와 구별하기 위함이다. 홀로 외로이 서 ..
▲ 두달 연속으로 장거리 산행은 쉬고, 3개월만에 장거리 산행이다보니 기분은 좋으나 힘이 많이 든다 ▲ 신원봉을 지나 문복산으로 가면서 바라본 문복산, 좌측으로 옹강산이 고개를 내밀로, 우측으로는 조래봉이 조망된다 후미에서 진행하면서 나름 페이스 조절을 해보고 중간중간 멋진 단풍도 담아본다 ▲ 문복산(文福山, 1,014.7m)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과 경주시 산내면에 걸쳐 있는 산으로 영남알프스 산 중에서 가장 낮은 산이다 문복산의 유래는 "옛날에 문복이라는 노인이 이 산에 들어와 평생 도를 닦고 살았다" 하여 문복산이라 한다. ▲ 문복산을 지나면서 만나는 암봉에서 자화상 이곳에서 급경사 내리막 길을 내려선 다음 서담골봉으로 가야 한다 ▲ 서담골봉(일명 수리덤산 또는 도수골 만디) 자화상 오늘은 사진을 ..
▲ 울긋불긋 가을에 더욱 빛나는 부처님 진신사리를 품은 법계사 3층석탑 ▲ 바위를 기단으로 하늘향해 솟은 3층석탑의 위용이 어쩌면 소원을 다 들어줄 것 같다 ▲ 순두류에서 법계사로 오르는 용수골의 단풍, 몇그루 빼고는 계곡 단풍이 그다지 이쁘지 않은 것 같다 ▲ 생에 처음 천왕봉에 올랐다는 중전과 지리산 천왕봉에서 한 장 남겼다 정상석 주변에 아무도 없는 혼자만의 독사진 언제 함 남겨보지.......................! ▲ 천왕봉에서 바라본 지리주능 정말 깨끗하다. 좌 촛대봉, 저 멀리 구름에 가린 반야봉과 노고단이 아련하다 ▲ 천왕봉 아래에서 중봉과 하봉 능선을 배경으로 한 장 남기고 ▲ 나도 같은 장소에서 한 장 남기고 ▲ 통천문 전 멋진 고사목을 배경으로 선 중전, 하늘도 푸르고 멀리 구..
▶ 경산시 남산면 반곡리에 위치한 「개구리밥으로 덮힌 반곡지」 반곡지 원래의 명칭이 외반지였다. 반곡지는 현재의 마을 행정명인 반곡리에서 유래된 명칭이며 1914년 행정구역 통합이전에는 외반리와 내반리였다 반곡지 아래에 있는 마을을 외반마을, 위쪽에 있는 마을을 내반마을..
▲ 오서산 오름에 서해바다와 억새를 배경으로 자화상 담아본다. 서해의 등대라는 별명답게 흐린날씨 임에도 바다가 조망되고 누렇게 익은 들녁이 편안해 보인다 ▲ 보령시에서 세운 오서산 정상석 오서산은 충남 보령시 청라면과 청소면, 홍성군 광천읍의 경계에 걸쳐 있으며, 예로부..
▲ 신이 올려 놓은 바위인듯, 가만이 보니 무엇을 닮은 것 같은데...... ▲ 전망대에서 영취산 정상과 하산할 능선을 바라보며 한컷 오늘은 왠지 걸음이 떨어지지 않는다 발딛는 곳마다 수석같은 기암천국 전망대다보니 시간은 늦어진다 그러다보니 법성사에서 영취산까지 3시간이나 걸렸..
▲ 꿩의 다리 ▲ 문수산 발자취 ▶ 언 제 : 2019. 9. 8.(일) 08:55경 산행시작....3시간 40분 소요(시간 무의미) ▶ 어 디 : 율리농협 - 만남의광장 - 약수터 - 북릉 - 문수산 - 만남의광장 - 안영축...약 7.50km ▶ 누구와 : 마나님과 선배부부 총 4명 ▶ 추석을 앞둔 주말 먼곳으로 떠나고 싶었지만 마나..
▲ 점봉산 생태관리센터 주차장에 모인 우정산그리뫼 곰배령 탐방 회원 ▲ 곰배령 자화상 유전자 보호림으로 지정되어 연중 입산통제구역인 점봉산의 령인 곰배령은 곰이 배를 하늘로 향하고 누워있는 모습을 하고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해발 1,164m 고지에 계절별로 야생화가 만발하..
▲ 봉산골 초입에서 즐거운 마음으로 ▲ 이끼들이 제각끼 푸르름을 자랑하다보니 원시림에 들어와 있는 것 같았다 ▲ 봉산폭포, 비가 와서인지 두줄기의 물줄기가 시원하게 떨어진다. 봉산골은 그 옛날 궁궐에서 사용할 멋진 소나무를 보호하고자 출입을 막았다하여 봉산(封山)골이라 ..
▲ 치술령(致述嶺) 정상신라 충신 박제상의 부인을 치술신모라 하여 사당을 짓고 제를 지냈다고 하는 신모사지 비석이 있다 ▲ 상서장(上書莊) 경북 경주시 인왕동 274에 있는 경북 기념물 제46호인 상서장은 신라말기의 학자 고운 최치원이 나랏일을 걱정하여 시무십여조(時務十餘條)의 글을 진성여왕에게 올렸던 곳이다. 지금은 그의 영정을 영정각에 모시고 매년 4월에 제사를 지내고 있으머, 조선 순조 이후에 건립한 것으로 전한다 최치원은 헌안왕 때 태어나 12세에 당나라에 유학하여 18세에 과거에 급제하고 벼슬길에 올랐다 고국에 돌아와서는 기울어져 가는 나라를 바로 잡으려다 뜻을 이루지 못하고 해인사에서 여생을 보냈다 계원필경(桂苑筆耕)을 비롯한 많은 저서가 있다. ▲ 양남알프스 10구간, 치술령-묵장산-금오산-..